본문 바로가기
정보

티스토리 구글 SEO 최적화 글쓰기 가장 많이 놓치는 부분 (+색인 실패, 크롤러 오류 해결)

by 아티브(Artive) 2022. 9. 25.
728x90

요즘 네이버 블로그를 시작으로, 구글 에드센스 수익를 위해 티스토리 블로그를 하는 사람들이 정말 많아지고 있습니다. 이젠 정말 '레드오션'이라고 할 수 있겠는데요.

 

티스토리 블로그를 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구글 SEO에 맞는 글쓰기, 글 작성이고 볼 수 있습니다.

 

구글 티스토리 SEO 최적화 글쓰기

 

SEO는 구글 검색 결과에 가장 잘 노출되고, 사람들에게 많이 읽힐 수 있는 글을 쓰기 위해서는 '필수'라고 보는 것이 맞습니다.

 

사실 저도 자체 사이트를 운영하다가 추가적으로 최근 아티브 티스토리 블로그를 시작한 입장에서, 어찌보면 티스토리 초보라고 볼 수도 있겠지만 오랫동안 수익형 블로그, 사이트를 운영하며 쌓은 '콘텐츠 작성' 노하우를 조금이나마 소개하고자 합니다.

 

SEO 맞춤 키워드부터 제목, 메타 디스크립션, 이미지, 태그 등등 신경쓸 것이 너무 많지만 이번에는 사람들이 가장 많이 놓치는 부분들을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이미 SEO는 업계에서 너무 유명해진 용어고, 앞서 언급한 기본적인 글쓰기 내용은 대부분 티스토리 블로거들이 알 것이라고 생각을 합니다.

 

근데 글을 작성하는 것에 집중하는 바람에 놓치고 있는 부분들이 분명히 있을 수 있습니다.

 

반응형

 

1. 티스토리 메타 디스크립션 사용하기

 

워드프레스 등 다른 플랫폼과 달리 티스토리 블로그상에서 따로 메타 디스크립션을 작성할 수 있는 공간이 없습니다. 그러나 SEO에 있어서는 메타 디스크립션은 정말 핵심 중에 핵심이기에 빠뜨려서는 안되는데요.

 

 

보통 티스토리 블로거들이 메타 디스크립션은 '본문 1~2줄'이라고 이해하실 겁니다. 물론 맞는 말이지만, 만약 블로그 소개글이 작성되어 있다면 해당 소개글이 자동으로 메타 디스크립션으로 인식해 발행한 콘텐츠에 작성한 메타 디스크립션이 노출되지 않는 경우가 굉장히 많습니다.

 

때문에 글을 쓰시기에 앞서 블로그 소개란에 있는 칸을 빈칸으로 두셔야, 후에 발행하시는 콘텐츠별로 앞 1~2줄이 메타 디스크립션으로 잃힐 수 있을 것입니다.

 

 

2. '제목' '헤딩' 등 소제목의 키워드 노출

 

구글 SEO를 잘하는 업체들의 글을 분석해보면 하나같이 '헤드'값을 잘 잡는 곳들입니다. H1, H2, H3라고 나오는 이 헤드는 소제목이라고 보시면 되는데, 구글에서 헤드에 나와있는 키워드를 읽는다는 분석이 지배적입니다.

 

모든 헤드에 키워드가 대량 들어가야하는 것은 아니기에 마구잡이로 키워드를 때려넣는 것이 방법은 아닙니다.

 

글의 분량, 주제에 맞게 문단별로 적절히 소제목을 작성해주는 것이 매우 효과적일 것입니다. 실제 최근 구글 검색량이 높아진 언론사, 블로그를 보면 소제목 - 본문, 소제목 - 본문 이런식으로 글의 구성이 짜여진 곳들이 대부분입니다.

 

 

3. 너무 긴 제목은 피하기

 

구글은 단순함을 좋아하기 때문에 제목이 너무 장황하게 긴 경우 SEO 검색결과에서 좋은 점수를 받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적당한 키워드를 작성하는 것은 중요하지만, 제목에 너무 많은 키워드를 무리하게 집어넣다보면 사람들의 거부감을 불러일으킬 수 있습니다.

 

네이버 블로그는 단순 키워드 나열만으로도 검색결과가 좋은 편이지만, 구글은 그렇지 않기 때문에 퀄리티 좋은 글로 보이기 위해서라도 단순하면서도 키워드가 들어간 제목이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4. 폰트의 사이즈와 글과 글, 사진 간의 간격 (구글 색인 실패 오류 해결)

 

내가 글을 작성했는데 구글 서치 콘솔에서 색인이 안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저 역시도 모든 글이 색인이 된 것은 아니고, 색인 실패를 경험하고 있기에 이 부분에 대해서는 100% 정답이라고 말씀드릴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블로그를 운영하고 계속해서 서치콘솔을 본 결과, 색인이 안되는 글의 공통점은 모바일상 편의성이 없고 광고가 들어갈 자리에 간격이 너무 좁다는 이유였는데요.

 

실제 16pt로 작성된 글들과 이후 18pt로 작성된 글들 사이에서는 색인 차이가 있었고, 문단을 하나 작성하거나 사진을 하나 넣었을 경우 두 칸을 띄는 습관을 들인 후 색인이 안되는 오류가 많이 줄어들었습니다.

 

그러나 앞서 말씀드렸듯, 개인적인 경험이기 때문에 SEO 컨설팅, 전문가들의 말은 조금 다를 수도 있습니다.

 

 

 

5. 복사 붙여넣기는 금물 (구글 애드센스 크롤러 오류 해결)

 

티스토리 블로그에 글을 바로 작성하는 것이 아니라 메모장에 글을 쓴 후 그대로 티스토리에 복사 붙여넣기를 하는 블로거들이 많을 것입니다.

 

이 경우, HTML 코드상에서 <br / > 라고 적힌 부분들이 정말 많이 보일텐데 이때 구글 코드 상에서 오류가 발생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고 합니다.

 

그렇기에 복사 붙여넣기를 하는 것보다 직접 티스토리 블로그 내에 글 쓰는 습관을 가지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 그리고 구글 애드센스 크롤러 오류는 갑자기 블로그 방문자가 급증했거나, 트래픽이 몰렸을 경우 일시적으로 발생하고 시간이 지나서 해결되는 경우가 많으니 일정 기간 지난 후 확인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6. 고해상도 사진 사용하기

 

구글 노출에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구글은 '고해상도' 사진을 사용할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화질이 나쁜 사진을 사용할 경우 구글 알고리즘상 읽지 않는다고 하는데요.

 

구글 쪽에서는 대부분 1200픽셀 이상의 사진을 사용할 것을 권장한다고 합니다.

 

 

 

SEO 최적화는 정말 '결말'이 없는 영화같습니다. 그 어떤 전문가도, 블로거들도 100% 완벽하게 이해하고 있는 사람은 없을 것입니다.

 

그러나 기초적인 글쓰기부터 SEO에 맞게 맞춰나간다면 어느 순간 나의 블로그 글이 검색결과에 노출되는 맛있는 마법을 맛볼 수 있지 않을까요.

 

여기에 포기하지 않고 꾸준히 1일 1게시글 이상 쓰는 습관을 들인다면 더할나위없이 좋을 것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