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자동차 운전 급발진 발생 '무조건' 살아남는 4가지 대처 방법 (+브레이크, 원인)

by 아티브(Artive) 2022. 10. 31.
728x90

자동차를 운전하다보면 아무리 베테랑 운전자라도 예상치 못한 사고를 당할 수 있습니다. 같은 도로 위에 '빌런'이 있을 수도 있고, 갑자기 동물이 튀어나와 자동차와 부딪힐 수도 있으며, 자신의 자동차 급발진이 발생해 큰 사고로 이어질 위험도 있습니다. 특히 차량 급발진으로 인해 브레이크가 고장나는 경우도 많은데, 이를 대처하는 방법을 모를시 계속 차량의 속도가 증가해 생명이 위험한 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때문에 차량 급발진 대처 방법은 운전자가 아니더라도 반드시 알고 있어야 합니다.

자동차 급발진 사고 발생 대처하는 방법
자동차 급발진 사고 발생 대처하는 방법

자동차 급발진 발생하는 이유

그렇다면 차량 급발진이 발생하는 원인은 무엇일까요? 차량 제조사들은 급발진이라는 것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실제 운전을 하는 사람들, 그리고 사고 사례를 보면 급발진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수동, 기계식 제어로 스로틀을 조작하던 과거에는 쓰로틀 고착 등 기계적 문제로 급발진이 나기도 했습니다. 이후 전자 제어 스로틀이 보편화 되면서부터 차량의 전자제어장치 오류에 의한 급발진 가능성이 생겼다는 분석이 지배적입니다. 특히 디젤 엔진 한정으로 엔진의 정비가 제대로 되어 있지 않아 엔진오일이 실린더 안으로 들어가게 된다면 급발진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자동차 브레이크 고장 급발진 사고
자동차 브레이크 고장 급발진 사고



기존의 액셀러레이터 페달에 기계적으로 연결된 케이블을 이용하여 쓰로틀을 여는 방식도 케이블이나 밸브 구조에 걸리는 것이 급발진 원인이 될 수도 있다. 공기량이 갑자기 지나치게 많아져 연료량이 희박해지면서 시동이 꺼지는 일이 대부분이겠으나 연료량 조건과 공기량 조건이 우연히 맞으면 급발진이 발생하지 않으리라는 법은 없다는 것입니다. 차량에 대해 잘 아는 사람들은(자동차 회사의 연구원, 정비공 등) 차량 급발진 가능성을 항상 염두에 두므로 바퀴가 땅에 닿아있는 한은 웬만해서 차량 앞이나 뒤에 서 있지 않는다고 합니다.


하지만 여전히 급발진의 명확한 원인이 있느냐라고 하면, 오리무중일 가능성이 높으며 제조사에서는 인정해주지 않기 때문에 급발진 원인을 지속적으로 찾아내는 것보다 급발진이 발생할 경우 대처하는 방법을 미리 알아두는 것이 더 현명할 수 있습니다.

차량 급발진 발생 살아남는 대처법 4가지

그렇다면 자동차 운전 중 급발진이 발생할 경우 운전자는 어떻게 대처해야할까요? 3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1. 브레이크 밟는 방법


보통 운전을 할 때 브레이크를 나눠서 밟습니다. 속도를 서서히 줄이기 위해서는 브레이크를 살짝 여러번 밟으며 차량의 속도를 줄이는데요. 하지만 차량 급발진 발생시 브레이크를 나눠서 밟으면 절대 안됩니다. 급발진이 발생하면 브레이크를 온힘을 다해 강하게 밟아, 브레이크 압력이 제대로 전달되게끔 해야합니다.


이 경우, 브레이크가 굳는 현상이 발생하기도 하는데 한발보다는 두발로 체중을 실어 브레이크를 꽉 밟는 것이 중요합니다.

차량 급발진 발생 브레이크 잡는 법
차량 급발진 발생 브레이크 잡는 법



2. 기어 중립에 놓기


급발진이 발생하면 엔진에서 바퀴로 이어지는 동력을 차단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곧바로 기어를 N(중립)에 놓아야 합니다. 기어를 P(주차)에 놓으면 핸들이 잠겨버릴 수 있기 때문에 방향 전환 등 사고 대비에 어려움이 따를 수 있습니다.


급발진 발생 기어 중립
급발진 발생 기어 중립


3. 사이드 브레이크의 중요성


급발진 사고를 대처하는 데 가장 중요한 사이드 브레이크 사용법입니다. 급발진시 차량의 속도가 증가하는데, 이때 사이드 브레이크를 급하게 올리면 차량 드리프트 현상이 발생할 수 있어 추가적인 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사이드 브레이크를 천천히 끊어서 위로 올려줘야 합니다.

급발진 사이드 브레이크
급발진 사이드 브레이크



4. 최후의 방법

 

만약 위에 언급한 3가지를 시도했을 때도 급발진 현상이 줄어들지 않는다면 최후의 수단을 사용해야 합니다. 차량의 속도를 줄이는 것이 키포인트이기 때문에 중앙분리선이나 가드레일을 긁으면서 차량 운전을 해야합니다. 차량 파손을 감수하고서라도 차량 속도를 줄여야 추가적인 사고가 발생하지 않고, 목숨도 구할 수 있습니다. 차량의 속도를 계속 줄이면서 갓길이나 벽에 부딪혀 차량을 세워야 합니다. 이때 조수석에 탑승한 사람이 있다면 급발진 발생시 곧바로 경찰에 신고를 해야합니다.

급발진 차량 세우는 법
급발진 차량 세우는 법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