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핫이슈

트위치 한국 VOD 콘텐츠 서비스 종료 중단 유명 스트리머들 심각해진 '진짜 이유' (+반응)

by 아티브(Artive) 2022. 11. 10.
728x90

아프리카TV, 유튜브와 함께 국내에서 인터넷 방송 플랫폼으로는 가장 인기를 끌고 있는 트위치가 뜬금 한국에서 VOD 콘텐츠 시청 서비스를 중단하겠다고 밝혀 엄청난 반발이 생기고 있습니다. 한국 내 트위치 화질 제한 정책을 추진한 후 얼마 지나지 않아 VOD 서비스 중단을 발표해 유력 스트리머들이 타 플랫폼 이적을 추진할 것이라는 예측까지 나옵니다.

트위치는 11월 10일 갑자기 공지사항을 올리며 한국 시청자들은 더 이상 트위치 VOD 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한다고 발표했습니다. 트위치에 따르면 한국 이용자들은 클립, 이전 방송, 하이라이트, 업로드된 콘텐츠 포함 등 VOD 서비스를 12월 13일부터 이용하지 못하는데요. 트위치 발표에 따라 앞으로 트위치에서는 생방송을 제외한 이외 콘텐츠들 소비가 사실상 불가능해진 셈입니다.


트위치 한국 VOD 서비스 중단 종료 스트리머들 심각해진 이유
트위치 한국 VOD 서비스 중단

트위치 한국 VOD 서비스 중단 사태 스트리머들 심각해진 원인

이번 결정으로 한국 시청자들은 VOD 서비스를 못 보는 것뿐만 아니라, 2023년 초부터는 새로운 VOD 콘텐츠 생성 기능마저 중단된다고 합니다. 사실상 한국에서 트위치는 서비스 종료 수준으로 퇴행하는 것입니다.

이와 같이 한국 트위치 VOD 서비스 중단한 이유에 대해 트위치 측은 "진화하는 규제 기준을 충족하기 위한 최적의 방안을 구현하려는 노력의 일환이다"라고 설명했습니다.

하지만 트위치 스트리머들과 시청자들은 납득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많은 시청자들은 트위치 생방송뿐만 아니라 스트리머의 지난 방송을 다시보기하거나, 하이라이트 클립을 찾아보는 경우가 굉장히 많은데요. 트위치 VOD 서비스 중단으로 스트리머들이 심각해진 진짜 이유가 여기 있습니다. 하이라이트, 지난 방송 등을 통해서도 스트리머들은 광고 수입을 얻을 수 있는데, 앞으로는 VOD 서비스가 사라짐에 따라 수익 역시 감소할 것이 분명해졌기 때문입니다.


트위치
트위치



이로 인해 트위치 스트리머들의 타 플랫폼 이적이 이뤄질 것으로 보입니다. 현재 한국에서 가장 인기를 끌고 있는 한동숙, 릴카, 풍월량, 케인 등 스트리머들은 이번 사태와 관련해 현재까지 이적과 관련한 공식 입장을 밝히진 않았습니다. 하지만 트위치 화질 제한 때도 여러 스트리머들이 이적 의사를 밝힌 만큼 VOD 서비스 중단으로 이적 결정을 내릴 스트리머들이 많을 것으로 보입니다.

이번 사건과 관련해 유명 트위치 스트리머 러너는 생방송에서 "앞으로는 따로 녹화를 떠야 한다는 것 같다"라고 말하며 "720P 제한 결정했다가 이번 결정이 나왔다. 무서운 것은 또 뭔가 나올 수 있다는 것이다"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트위치는 이제 한국에서 X 같아서 안하겠다는 것인가. 물론 내 생각이다"라고 분노를 표출하기도 했습니다.

트위치 한국 VOD 서비스 종료 중단 공지
트위치 한국 VOD 서비스 종료 중단 공지

9월에는 트위치 한국 동영상 화질 720P 제한 결정

지난 9월에도 트위치는 한국 내 동영상 화질을 최대 720p로 제한하는 조치를 발표한 바 있습니다. 당시에는 "한국의 현지 규정과 요건을 지속해서 준수하는 한편 모든 네트워크 요금 및 기타 관련 비용을 성실하게 지불해왔다"며 "그러나 한국에서 트위치 서비스를 운영하는 비용은 계속 증가해왔으며, 이는 앞으로도 지속될 것으로 보여 한국 내 서비스 운영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해결책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했었는데요.

이를 두고 국내 온라인 커뮤니티 일각에선 국회의 망 사용료 법 입법 움직임을 원인으로 지목했습니다. 이후 사단법인 오픈넷이 주도하는 법안 반대 서명이 시작됐으며, 현재 27만명에 가까운 인원이 참여했다고 합니다.


트위치 한국 철수 가능성
트위치 한국 철수 가능성



앞서 방송통신위원회는 트위치의 고의적 화질 저하가 이용자 이익을 정당하지 않은 이유로 제한했는지 살펴보고 있는 상황입니다. 한상혁 방통위원장은 지난달 6일 국정감사에서 "트위치 문제는 이용자 피해가 발생하는지 혹여 금지 행위에 해당하는 사항인지에 대해서 검토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